김중혁 2022. 9. 18. 21:16
728x90
반응형

나는 뉴욕에 가본 적이 없다. 싱가포르에도 가본 적이 없다. 럼주를 좋아하지 않는다. 럼주는 내게 종교 음악 같다. 2미터 길이의 책상에서 글을 쓴다. 2미터 길이의 책상은 정확히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하나의 구역은 각각 50센티미터이다. 왼쪽에는 연필과 종이를 쌓아두고, 오른쪽에는 마실 것을 늘어놓는다. 가운데에는 노트북 컴퓨터가 있다. 낮에는 커피를 마시고 저녁에는 물을 마신다. 나는 런던에 가본 적이 있다. 런던의 날씨를 사랑한다. 파리에도 가본 적이 있지만, 런던의 날씨만큼 음습하지는 않았다. 뼛속 깊이 파고드는 습기와 함께 오후의 차를 마시고 나면 저녁이 찾아왔다. 책상의 맞은편에는 기타가 놓여 있다. 기타를 바라보면서 내가 연주하는 장면을 상상한다. 나는 기타를 칠 줄 알지만 상상 속의 장면만큼 잘 치지는 못한다. 그래서 늘 상상만 하고 실제로는 치지 않는다. 가끔 기타 소리가 들리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질 때도 있는데, 그게 실제 들리는 것인지 환청인지는 분간하지 못하겠다. 글이 잘 써지지 않을 때면 클래식 연주를 전문적으로 방송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을 튼다. 소리는 나지 않게 한다. 오케스트라의 연주 소리는 텔레비전을 빠져나오려고 갖은 애를 쓴다. 오페라를 볼 때도 많다. 여전히 소리는 듣지 않는다. 도끼를 들고 남자가 여자를 내려친다. 벽에 비친 도끼의 그림자가 여자의 그림자와 맞닿는 순간이다. 베르디의 한 장면인 모양이다. 나는 보스턴에 가본 적이 없다. 오클랜드에도 가본 적이 없다. 오클랜드에는 내가 좋아하는 농구팀이 있다. 스테픈 커리와 클레이 톰슨이 소속된 팀이다. 농구 역시 소리를 듣지 않고 틀어두기만 한다. 농구공이 플로어에 닿는 소리를 좋아하지만 그 소리만 들으면 나는 어질어질해진다. 농구공이 플로어에 닿는 소리는 늘 상상했던 것보다 더 크게 들린다. 선수들의 운동화가 경기장의 바닥에 끌리는 소리 사이에서 농구공의 메아리는 아름다울 것이다. 나는 러브 스토리를 쓰는 중이다. 남자와 여자가 등장한다.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짧은 소설 <보풀>에 이런 문장이 나온다. “오늘 저녁, 나는 말보다는 보풀로 설명할 수 있는 단어나 사건이 없다는 느낌에 사로잡혀 있다. 나는 내 어린 시절의 단편들을 조사하고 있다. 아무런 형태도 의미도 없는 머나먼 삶의 조각들. 그것들은 막 생겨난 보풀 같다.” 지금 적은 문장이 소설의 전문이다. 기타의 바로 위편에는 커다란 패널이 붙어 있다. 러브 스토리의 등장인물이 거기에서 살고 있다. 관계도 속에서 A는 B를 사랑하고, C도 B를 사랑한다. D는 A를 죽이고 싶어하지만 C를 싫어하기도 한다. 나는 이야기의 전체를 알고 싶지만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러브 스토리가 끝나려면 몇 달을 기다려야 한다. 소설을 읽으려면, 내가 소설을 끝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커다란 세계를 묘사하고 싶지만 내가 알고 있는 보풀들의 세계다. 나는 보풀이 허공에서 춤을 추는 장면을 상상한다. 나는 동경에 가본 적이 있다. 나는 오사카에 가본 적이 있고, 삿포로에 가본 적이 있다. 나는 니이가타에도 가본 적이 있다. 니이가타로 가는 길에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떠올렸다. 설국의 첫 문장이 거기에서 쓰여진 것이다. “접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밤의 끝이 하얘졌다.”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설국>을 집필했던 료칸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돼 있다. 나는 다시 러브 스토리에 집중한다.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이야기다. 나는 다른 나라의 사람들을 상상한다. 각각 다른 언어로 같은 사랑을 한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나는 러브 스토리 사이에다 농담을 넣었다. 제법 웃긴 농담이다. 농담 때문에 러브 스토리가 강렬해질지, 농담 때문에 러브 스토리가 재미없어질지, 아직은 모르겠다. 책상 주변의 모든 소리를 음소거해 놓으면 파이프를 타고 흐르는 물소리가 들린다. 어느 집에서 나는 소리인지는 알 수 없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서울에 와본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 이곳은 시끄러운 도시다. 밤이 되어도 불이 꺼지지 않고, 술집에는 술꾼들이 넘쳐난다. 사람들은 성격이 급하지만, 그만큼 열렬하게 사랑한다. 런던만큼 음습하지 않지만 이곳의 겨울은 적당히 쌀쌀해서 오후의 차를 마실 만하다. 골목이 점점 사라지고 있어서 걱정스럽다. 나는 서울에서 살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서울의 근교에서 살고 있다. 이곳은 서울보다 1도 정도 춥다. 며칠 전에 산 아이패드프로에다 애플 펜슬로 그림을 그리고 있다. 소설 속의 장면과 소설 속의 배경을 그려보았다. 나는 소설을 쓸 때면 늘 먼 곳을 상상한다. 동경과 니이가타보다도 먼 곳, 뉴욕보다 먼 곳, 런던이나 파리보다 먼 곳, 스톡홀름보다도 먼 곳을 상상한다. 까마득하게 먼 곳으로 날아간다. 그곳은 어쩌면 은하계의 바깥보다 먼 곳이고, 우주를 벗어나는 곳이다. 나는 계속 멀리 날아가다가 문득 옷에 달린 보풀을 본다. 보풀을 잡아서 뜯는 순간, 나는 순식간에 돌아온다. 우주보다 먼 곳에서 갑자기 이곳으로 돌아온다. 이곳은 책상 앞이고, 내 앞에는 기타가 있고, 기타에서는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기타 위편에는 러브 스토리의 설계도가 커다랗게 붙어 있다.

완벽한 캘리포니아의 하루(Modern&Classic)
20세기 미국 문학의 거장 브라우티건. 무라카미 하루키부터 김애란, 최승자, 정영문 등 작가들이 좋아하는 작가 리처드 브라우티건 유일의 단편집 『완벽한 캘리포니아의 하루』를 국내 최고 권위의 영문학자이자 한국문학번역원장이며 생전의 작가와 인터뷰 하기도 했던 김성곤 교수의 유려한 번역으로 만나본다. 목가적 꿈을 잃어버린 현대인의 허무를 감각적 문장과 강렬한 이미지로 담아낸 미국 생태문학의 효시 리처드 브라우티건이 남긴 62편의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소설집은 현대문명에 실망하고 좌절한 1960년의 젊은이를 화자로 하고 있는데, 저자는 현대의 메마른 풍경의 근원을 찾아, 제1차 세계대전과 금주령 시대, 그리고 경제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자신의 어린 시절을 만나고 뿌리와 조우한다. 그리고 암울한 오늘의 원인을 비로소 깨닫는다. 모든 것은 ‘잔디밭’ 즉 전원적 꿈이 망가져버렸기 때문임을. 비폭력을 상징하는 ‘잔디밭’이 망가지는 과정과 그에 따른 복수를 유머러스하게 담은 표제작 《잔디밭의 복수》를 비롯해 미국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단편, 초단편과 작가의 대표작인 《미국의 송어낚시》에서 유실된 두 챕터가 실려 있다.
저자
리처드 브라우티건
출판
비채
출판일
2015.06.05
설국(세계문학전집 61)
일본 문학사상 최고의 서정소설 『설국』 . 명확한 플롯이 없는 대단히 모호한 작품이지만, 뛰어난 감각적인 문체와 우수 어린 인간 세계 묘사로 독자들을 빠져들게 한 명작이다. 작가는 작품의 모티프를 주로 풍경에서 얻어, 12년에 걸친 기간동안 섬세하게 다듬어 ‘설국’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조각해 냈다. 책에는 눈 지방의 자연 풍경과 풍습,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이 정교하게 아로새겨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인물과 배경 묘사에 치밀한 데 반해, 그 안에 두드러진 줄거리가 없다는 것이 또 특색이다. 눈에 띄는 줄거리 없이 눈 지방의 정경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인물들의 심리의 추이에 따라 하나의 상징의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 세계는 떠도는 여행자의 세계로, 변함없이 그대로인 자연에 비해 유한한 인간 존재를 자각하게 하는 허무의 세계를 그렸다.
저자
가와바타 야스나리
출판
민음사
출판일
2009.01.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