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혁 2022. 10. 7. 11:00
728x90
반응형

1.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를 보았다. 영화 '어느 가족'과 마찬가지로 뜻밖의 이유로 모인 '이상한' 가족에 대한 이야기다. 차이가 있다면 그 가족을 가까이서 지켜보는 두 명의 경찰이 있다는 점. 미행자 관찰자 시점이라고 해야 할까. 두 경찰의 존재는 영화 속에서 이질적이다. 미행하는 듯하다가 사건에 깊이 개입하고, 주인공에게 설교를 하는가 하면 사건 뒷수습까지 한다. 이상한 관찰자 시점이다.

2.

익숙한 설정과 전에 한 번쯤 본 듯한 인물들이 많다. 보육원에서 소년 시절을 보낸 청년, 아이를 버리는 엄마, 철 없이 해맑은 어린아이, 가족으로부터 배제된 중년의 남자. 익숙한 인물들이 펼치는 로드 무비인데, 예상처럼 이야기가 흘러가지는 않는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치고는 해피엔딩 쪽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해피'한 게 무엇인지에 대해 곱씹게 된다. 다른 작품에 비해 쓴맛이 강하지 않아서 달콤한 작품인가 하면 그건 또 아니고. 

3.

인물들은 서로에 대해 선을 넘지 않는다. 고레에다 감독이 계속 추구하는 이상한 가족의 모습. 아마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성격이 반영된 것은 아닐까. 

4.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오글거리는 장면도 꽤 있을 것 같다. 그 어느 때보다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들려주기 때문에 관객은 피할 수 없다. ‘태어나줘서 고마워’라는 말을 주고받는 장면이 아마도 대표적일 것 같은데, 나는 좋았다. 아마도 배우들 때문인 것 같다. 스테이크를 썰다가 졸지에 태어나줘서 고맙다는 이야기를 듣는 송강호의 어리둥절한 표정과 불을 끄러 달려가는 강동원의 소년스러운 모습과 지나치게 어른 흉내를 내지는 않지만 알 건 다 아는 임승수의 목소리와 점점 이들의 천진난만함에 스며들고 있는 이지은의 연기가 그 장면이 꼭 있어야 하는 이유를 내게 설득시켰다.

5.

영화 속에서 뜻밖에 좋았던 장면은 배두나가 남편에게 전화를 하다가 거리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를 들려주는 장면이다. 무뚝뚝하게 보이던 사람에게 어떤 과거가 있었는지, 이 사람은 과거를 어떤 방식으로 추억하는지 잘 묘사돼 있다. 거리에서 흘러나오던 음악은 에이미 만의 'Wise Up' 이었고, 함께 본 영화는 아마도 '매그놀리아' 인 것 같다.

 

 

 
브로커
세탁소를 운영하지만 늘 빚에 시달리는 `상현`(송강호)과 베이비 박스 시설에서 일하는 보육원 출신의 `동수`(강동원). 거센 비가 내리는 어느 날 밤, 그들은 베이비 박스에 놓인 한 아기를 몰래 데려간다. 하지만 이튿날, 생각지 못하게 엄마 `소영`(이지은)이 아기 `우성`을 찾으러 돌아온다. 아기가 사라진 것을 안 소영이 경찰에 신고하려 하자 솔직하게 털어놓는 두 사람. 우성이를 잘 키울 적임자를 찾아 주기 위해서 그랬다는 변명이 기가 막히지만 소영은 우성이의 새 부모를 찾는 여정에 상현, 동수와 함께하기로 한다. 한편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본 형사 `수진`(배두나)과 후배 `이형사`(이주영). 이들을 현행범으로 잡고 반 년째 이어온 수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조용히 뒤를 쫓는다.베이비 박스,그곳에서 의도치 않게 만난 이들의예기치 못한 특별한 여정이 시작된다. 
평점
6.0 (2022.06.08 개봉)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출연
송강호, 강동원, 배두나, 아이유, 이주영
728x90
반응형